(봉쇄령이 내려진 중국 상하이의 한 아파트의 불이 꺼져있다. © AFP=뉴스1)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수하는 중국이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인구 2500만명의 거대 도시인 상하이를 50일 가까이 장기 봉쇄하면서 국내 기업들의 피해가 급격히 커지고 있다. 현재까지는 부품 조달, 공장 가동 중단 등 주로 공급 측면에서 타격을 받고 있지만 봉쇄가 장기화될 경우 중국 내 수요가 위축되면서 수출 비중이 높은 국내 기업들이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도시 봉쇄로 인해 상하이 시내 또는 인근에 생산기지를 운영하는 국내 기업들의 피해도 커지고 있다. 물류가 막히면서 원자재 수급이 어려워지고 결국 출고가 지연돼 물건을 팔지 못하는 것이다. 힘들게 생산해도 공장에서 항구까지 제품의 반출이 어려우며 겨우 운반해도 항구 봉쇄로 선박들이 입항하지 못해 한참을 기다려야 한다.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는 중국의 봉쇄로 피해를 입고 있는 대표적인 산업이다. 현재 삼성전자·SK하이닉스의 중국 반도체 생산기지는 정상 가동 중이지만 봉쇄가 길어지면서 자동차·스마트폰·PC 등 반도체가 쓰이는 품목들이 제대로 출하되지 않는 병목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매출이 줄어들고 수요에도 악영향을 미쳐 가격도 하락하고 있다. 이승우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봉쇄로 인해) 두 달째 이어진 D램 현물가격의 하락세는 5월에도 지속될 전망이며 2분기 메모리 가격도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국의 대(對) 중국 수출 지표도 봉쇄 정책 이후 급격히 나빠지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한국의 일평균 수출액은 3월 27억6000만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지만 3월 말 중국의 봉쇄 정책 이후 둔화되면서 4월에는 24억5000만달러로 크게 낮아졌다.
더 큰 문제는 봉쇄 정책으로 인해 중국의 수요가 위축될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외출을 전면 금지하는 '중국식 봉쇄'는 대형 기업에 타격을 주는 것은 물론 자영업·서비스업 등 일반 시민들의 수입도 줄어들게 만들어 소비 급랭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중국은 한국의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약 25%인 최대 교역국인데, 내수 위축에 따라 소비가 줄어들면 수출 위주의 국내 기업엔 직격탄이 될 수 있다.
재계는 중국의 봉쇄 정책의 지속 여부가 현재 국내 경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매크로 이슈로 보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지난달 27일 1분기 콘퍼런스콜에서 하반기 전망에 대한 질문에 "현재 가장 큰 수요 요인은 코로나19에 기인한 중국의 록다운 이슈"라고 언급했다. 한 재계 관계자는 "코로나보다 중국의 도시 봉쇄가 더 무섭다"며 "우크라이나 전쟁이나 미국 금리인상·긴축정책보다 중국의 봉쇄로 인한 타격이 더 심각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 본 기사는 뉴스1의 기사(문창석 기자)를 인용 보도한 것임을 밝힙니다.